별관

[스크랩] 충무공 시호를 받은 분들

물안개anfdksro 2017. 1. 17. 16:00

충무공 시호를 받은 분들

1643 . 3. 28일 조선조 때 인조께서 이순신에 충무공 시호를 내렸습니다.

충무공 시호는 9분이 받았군요.

충무공 이순신을 사랑하는 분들은 그만큼 충무공이라는 시호에 대해서 애정을 갖고 있다. 그런 분들이 여행 중 진주성에서 충무공 김시민, 남이장군 묘소에서 충무고 남이라는 문구를 보고 와서 잘 못된 것이 아니냐는 문의를 해온다.

충무공이라는 시호는 9명에게 하사되었는데 1. 이순신 2. 김시민 3. 남이 4. 구성군 5. 구인후 6, 정응하 7. 이수일 8. 정충신 9. 조영무 등이다.

임진왜란 때 공은 세운 무신들에게 준 훈호는 3 등급으로 나누어져 있다. 1등 선무공신은 이순신, 권율, 원균, 2등 선무공신은 신점, 권응수, 김시민, 이정암, 이억기, 3등 선무공신은 정기원, 권협, 유사헌, 고언백, 이광악, 조경, 권준, 이순신(純信), 기효근, 이운봉 등이다.

틀릴수도 모르겠지만 열심히 찾았다녓습니다 ..ㅜ

시호(諡號)란 죽은 사람의 공과를 심사하여 그 공로를 기리기 위해 국가가

붙여주는 칭호 입니다 시호의 대상으로는 임금,재상,유현(儒賢) 등을

들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무공(忠武公)이란 '충무'라는 시호를 받은 사람을 말합니다

여기서 공(公)은 존칭이 됩니다

흔히 충무공 하면 우리가 제일 먼저 떠올리는 인물이 바로

이순신(1545 ~ 1598)일 것입니다 이순신 장군이 사후에 충무 라는 시호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조선왕조에는 이 '충무'라는 시호를 받은 분이 이순신을 포함하여

모두 아홉분이 계십니다

그분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구인후(1578 ~ 1658)

2. 김시민(1554 ~ 1592)

3. 김응하(1580 ~ 1619)

4. 귀성군 이준(? ~ 1479) - 임영대군의 아들,즉 세종(1418 ~ 1450)의 손자

5. 남이(1441 ~ 1468)

6. 이수일(1554 ~ 1632)

7. 이순신(1545 ~ 1598)

8. 정충신(1576 ~ 1636)

9. 조영무(? ~ 1414)

>>>> 이상 가나다순

충무(忠武)라는 말은 즉 무(武)로써 나라에 충성을 바쳤다는 뜻이니

무신(武臣)으로선 대단히 영예로운 시호입니다

출처 : 금성(나주)정씨목사공파신두종중
글쓴이 : 창규(1) 원글보기
메모 :